【「アンニョン!韓国」086.えっ、えっ!?ソウルで家賃一万円?韓国の賃貸・不動産事情!】の文字起こしスクリプトです。
Apple Podcast・Google Podcast・Anchor・Stand.fm・Spotifyのいづれでもお聞きになれます。

はい皆さんいつも聞いていただい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さて今回もやってまいりましたアンニョン韓国。みなさんからの声をですねDMやレターでいただいておりますのでそちらから今回はご紹介させていただきます。ニックネームKさん。podcastで聴いています。内容がとにかく面白いし自然に韓国語を長時間聴いていられる貴重な番組。わかるところが少しずつ増えていくと楽しいです最初TV에서がtbsに聞こえていて気がついた時面白かったです


아~


これからも楽しみにしていますというようなコメントいただきました


예 감사합니다


はいKさん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確かにねTV에서ってtbsみたいなちょっとこうそういう風に聞こえなくもない感じですよね自然


아 그렇죠 그럴 수 있네요


まあこう自然なね会話なのでそういうなんていうの。リンキングってんですかね。言葉がつながって聞こえるみたいなところは結構あると思うんですよ


응


だからやっぱりそれがねだんだん耳が慣れてくると聞こえるようになってくるのでたくさん聞いて耳を鳴らしてですね。分からない所はあの文字起こしスクリプトがあるんで文字でね目で確認できるのでそちらも是非有効活用してみてください


하이


はいということで早速ですね今回のテーマ参りたいと思います。今回のテーマなんですけれどもこれまたリスナーさんからですね興味深いテーマを頂きましたのでこちらを読ませて頂きます。ニックネームHさん。佐藤さんJPさんこんにちは毎日必ずラジオを聞かせて頂いております。韓国に関して気になることや知りたいことを気軽に聞かせてくださいといつも言ってくださっているので今回DMさせていただきました。今回お伺いしたいのが韓国の賃料に関してです。私は今お付き合いしている韓国人男性がいます。初めて家にお邪魔させて頂いた時なんとなくこの広さで家賃いくらなのと聞いたら毎月光熱費込みで1万円ちょっとだよと安くて驚いたんですが日本でいう敷金礼金に当たる初期費用の高さにはさらに驚きました


응


この時彼に聞いた初期費用は500万円ほどでした。ちなみに彼はソウル在住ですが中心地より離れており駅から徒歩15分弱と立地は決して良くないと私は感じました


응


最近snsでは韓国物件の高騰などをよく目にしたり韓国で結婚するときは男性が家を用意すると耳にしたこともあり韓国の賃貸分譲アパートなどの価格がとても気になります。もしよろしければ教えて下さい


그렇군요


これからもラジオを楽しみにしています。涼しくなってきたので佐藤さんもJPさんも風邪ひかないように過ごしてください。長文失礼いたしましたということで


아 네


韓国の不動産に関してですねテーマを頂きましたので今回はそちらに関してお話ししていきたいと思います


하이 질문 감사합니다 되게 정성스럽게 질문을 작성을 해 주셨네요


そうですね本当に


쉬운 내용은 아니네요 들어 보니까 부동산에 관련된


そうですねなんかこう一言二言では済ませられないと言うか


그렇죠 지금 얘기를 들어보니까 정확하게 그 질문 내용만으로 많은 물론 전부 다 파악을 불가능한데 어쨌든 일본과 한국의 그 부동산 좀 차이가 있죠


そうですね


그렇죠 가격적인 면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어떤 부동산 거래라던가 제도적인 것들도 그렇고 차이가 있죠 예전에도 한 번 이런 거 다룬 적이 있었는데 전세 개념에 대해서


そうですね。以前もちょっとあの不動産に関してのねお話ってのはしたんですけれども今回もねそのざっくりおさらいをするとですね韓国というのは日本と不動産のそのシステムが違うんですよね


응 그죠 예


韓国は日本とシステムが違っていて日本だったら敷金礼金みたいなの払って、で月々のお金っていうんですかね賃貸料っていうかそういったのを払っていくんですけれども韓国の場合だと保証金と言って最初にまとまったお金を払っておくと月々のお金っていうんですかね。賃貸料が低く抑えられるみたいなシステムになってるんですよね。ざっくり言うと


뭐 그렇죠 그래서 아까 이제 질문자분께서 말씀해 주셨던 남자 친구분 집 같은 경우에도 초기비용이 5백만엔 대략 환율 적당히 계산하면 5천만 원 정도 되나요


そうですね


그렇죠5천만 원이 아마 초기비용으로 들어갔다는 말씀은 한국에는 礼金敷金이 없기 때문에 집주인한테 주는 礼金敷金은 없어요


はいはいはい


敷金라고 해야 되나 큰 의미에서 보면


まあそうですね


그죠 그 500만 엔는 5천만 원 정도는 아마 초기비용으로 이제 들어가긴 하는데 나중에 이제 다시 집을 나가게 되면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이라고 보면 되는 거죠


はいはいはいそうそうここですよね


보증금 같은 금액이죠 네


だから最初にまとまったお金を預けるというふうに言いましたけれどもそれはその家を出る時に一応そのまんま返してもらえるっていう仕組みなんですよね


그렇죠 뭐 보통은 전세 개념이 그렇고요 이제 월세가 흔히 이제 일본과 비슷한 시스템 매달


はい


매달 그래서 월세인 거예요


あそうですね。월세だから月々のお金ですもんね


그렇죠 매달 이제 지불하는 거죠 집세를 그런 게 있고 이제 반전세 이런 것도 있어요


はいはいはい


반전세는 전세는 그러니까 이제 전세금을 넣고 월세가 아예 없는 거예요 딱 그 월세가 없고 그 외에 이제 어떤 관리비라던가 아니면 흔히 말하는 光熱費 그러니까 어떤 난방비라던지 수도 전기 이런 것만 이제 들어가는 거고


うんうん


근데 이제 반전세 같은 경우에는 보증금이 큰월세 라고 보시면 되죠


はいはいはいなるほどねうん


보증금 많이 맡기고 월세가 이제 줄어드는 거예요 반전세에


うんうんうん


근데 이제 그런 세부적인 것까지는 결국 그것도 월세니까 그냥 딱 구분해서 월세 전세 그 다음 매매 이렇게 세 가지만 아시면 한국 부동산은


うん


월세는 매달 집세 내는 거 전세는 큰 보증금을 맡기고 월세를 내지 않는 거 매매는 뭐 그냥 부동산 사는 거죠 구입


はいはいはいですね。매매っていうのはその売買っていうことですよね


그렇죠 그래서 이제 그 계약을 할 때마다 이제 부동산 보통 부동산 통해서 계약을 하고 부동산에 이제 수수료를 지급할 형태인 거죠


うんうんうん


이제 그 왜 뭐 집주인에게 礼金 비슷한 그런 경우는 한국에는 없어요 일단 주거용 어떤 주택에 관해서는


うんうんうん


그런 게 있죠


そうですよね


일단은 한국의 부동산 시스템을 보시면 크게 그렇고


そうですね。まずはざっくりとその韓国の不動産のシステムはまぁそういった形になっているということで。Hさんから頂いた質問で行くと最近のね不動産価格の高騰とか


맞아요 맞아요


はいそういったことを気にされてらっしゃるみたいなんですけれども


최근 뿐만이 아니고 계속해서 오르고 있어요 부동산 전체적으로


はいはいはいはい


한국 부동산 같은 경우에 전체적으로 예전부터 쭉 오르고 있어요 느리게 오르건 빠르게 오르건


はいはいはいずっとあがっていると


최근 그렇죠 최근 몇 년간 좀 급격한 상승을 하는 거 같긴 한데 어쨌든 오르긴 올라요


はいはいはい


그래서 이게 어찌 보면 굉장히 문재인 거죠


そうですね


그래서 결혼할 때 남자가 이제 집을 해 온다 뭐 이런 말이 있잖아요 한국에


そうですねはい。質問の中にもありましたね


그게 저는 지금 이제 저도 결혼한지 좀 됐으니까 제가 결혼할때도 저는 집을 해가지 않았는데 일본에 왔으니까


そうですよね


그런데 요즘에는 진짜 그게 힘든 일이 돼 버렸어요 왜냐면 집 값이 너무 비싸요


あーなるほどねはいはいはいはい


특히 서울에서 아까 이제 중심부를 벗어나서 역에서도 15분 정도 걸리는 거리 입지조건이 그렇게 좋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전세로 5,000만원 아마 평수도 그렇게 큰집은 아닐 거예요 제가 얘기를 들어보면


ああなんかあのどうでしょうね。そのこの広さで家賃いくらなのって聞いてるんでその広いかどうかっていうのは書いてないんですけど


그렇죠 뭐 여러 가지 조건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게 아파트인지 많이 원룸인지 뭐 이런 것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런 거에 따라서도 또 조건이 많이 달라져요 오피스텔인지 이런 것도


そうですねそう駅からの距離ってだけじゃなくてその広さだとか何階に住んでるのかとか


그렇죠 그렇죠


いろんな条件によってやっぱ変わってくるので一概には言えないところではありますね


근데 이제 서울에서 만약에 5000만원짜리 전세다 이러면 물론 어느 지역이냐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겠지만 일반적인 아파트의 가격으로는 생각할 수가 없죠 그 정도로 지금 한국에 이제 서울 특히 전세값 그 다음에 집값 매매가는 너무 많이 올랐어요


うんそうですよね。だからさっき言った전세,월세,매매全てどれをとってももう価格がそこ上がりしていると言うか物凄く上がってるので


그래서 예전에 한창 이제 부동산이 어느 정도 오르기 시작할 때 항상 그랬어요 흔히들 아 이제 부동산 진짜 많이 올랐으니까 이제 떨어질 거다


なるほど


지금 집을 사면 손해다 이런 말들이 있었어요


なるほどねあのこんなあがりっぱなしのはずがないといつか落ちるだろうと言われていたんですね


물로 그 말은 맞는 말인데 언젠가는 떨어지겠죠 근데 그 당시에는 그게 맞는 말은 아니었어요 계속 올랐어요 그 이후로 어쨌든 그래서 어떤 일이 있었냐면 예를 들면 저희 친구들 친구들 중에서도 이제 결혼을 하면서 살 집을 마련할 거 아니에요


そうですね


그럼 이제 각자 이제 경제 사정에 맞게 결국은 집을 구하게 되는데 부동산이 이제 계속 이거 오르니까 오르다가 이제 떨어질 것 같은 불안감도 있고 이러잖아요


うんうん


그리고 정부에서는 어떤 정권 교체가 되거나 대통령이 바뀌거나 이러면 항상 말하는 게 어떤 집값 안정 부동산 뭐 안정 뭐 이런 거를 정책으로 표방하고 그래요


うん


그러면 또 사람들 기대심리가 아 부동산 떨어지면 어떡하지 뭐 이런 걱정도 되고


うーんですね


그러면 뭐 뭐냐면요 집을 살까 말까 고민되는 거예요


確かに確かにはい人間の心理として


집을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はい


물론 이게 월세를 매달 내고 살아야 된다 이러면 돈이 되게 아까울 수 있는데 한국에 전세라는 제도가 있잖아요


ありますね


그러니까 이제 전세금을 그냥 놓고 사는 거죠 그러면 내가 이 집을 사지 않아도 나중에 이사를 갈 때 다시 돈을 돌려 받을 수가 있으니까


うんうんうん


집값이 떨어지건 오르건 내 돈은 그대로 유지가 되는 거예요


そうですね


그렇기 때문에 거기서 고민을 많이 한 사람들은 집을 사지 않고 그냥 전세로 들어갔어요